2005. 8. 15.

[여행] 러시아 사할린 연주 여행

2005년, 대한민국은 광복 60주년을 맞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광복 60주년 기념사업단'을 문화관광부 산하 단체로 임시 설치하여 구한말 일제강점기 소련, 멕시코, 쿠바 등으로 강제이주되었다가 광복 후에도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한인 1세대와 그의 후손들을 위한 문화교류 프로그램을 준비다. 국악, 태권도, 미술, 대중음악 등 각 분야의 사람들을 하나의 팀으로 구성해 각국으로 보냈다.

영화 '부에나비스타소셜클럽'의 인기로 지구 반대편 쿠바에 대한 한국 청년들의 환상이 컸던 시기라 쿠바를 가고자하는 팀들간 경쟁이 치열했다. 멤버들은 높은 경쟁률을 피해 쿠바 대신 러시아를 선택했고, 2005년 7월 25일 블라디보스톡을 거쳐 사할린에 도착했다.

당시, 김목인은 키보드 세션으로 속해 있던 로큰롤 밴드 '오부라더스'가 일본 '후지락페스티발'에 초청되어 함께 일본으로 떠날 준비를 하고 있었지만 참가 기회를 포기하고 멤버들과 함께 사할린으로 떠났다. 또한 이동열은 군입대 전이라 까다로운 출국심사를 거쳐야했고, 차지은은 러시아의 국민캐릭터 '체브라시카' 애니메이션 주제곡을 외우며 들떠 있었다.

러시아 사할린 섬 남부에 위치한 도시, 유즈노사할린스크의 7월은 한국의 초가을 날씨였다. 도시는 오랜시간 자란 침엽수들로 가득했고, 사람들은 무표정했지만 친절했다. 옛 사회주의 국가 소비에트연방 시대에 지어진 정형화된 회색 건물들과 일자로 가지런히 심어진 나무들에서 묘한 통제와 질서가 느껴졌다.

공연은 하루에 1~2회 정도로 국악, 태권도 시범 그리고 캐비넷 싱얼롱즈의 순서로 진행되었고, 장소는 사할린 시내의 대학교와 극장 광장 등에서 이뤄졌다. 연주했던 곡들은 자작곡과 샹송 그리고 러시아 민요들을 연주했고, 마지막곡으로는 국악팀과 함께 아리랑을 연주하고 노래했다.

사할린에서의 체류기간은 7월 25일에서 8월 8일까지 총 15일이었고, 그 기간동안 공연 외에도 다양한 워크숍과 포럼 그리고 들놀이(러시아 한인 어르신들의 야유회), 홈스테이가 있었다.

사할린으로 떠나기 전에는 안산 사할린고향마을을 방문해 한국으로 영주 귀국하신 사할린 동포분들을 만나 공연과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강제이주라는 우울한 역사를 공부하고 떠났지만 멤버 모두가 함께 떠나는 첫 연주여행의 설렘을 감출 수는 없었다. 그러나 체류기간의 마지막 날이 다가올수록 이 여행의 무게감과 책임감이 점점 커졌는데 특히 '망향의 언덕'을 방문했을 때에는 더욱 그러했다.

귀국 후에는 체류기간동안 김목인이 휴대용 레코더로 녹음한 연주와 노래수업 등을 <안녕! 사할린-사할린과 한국의 친구들이 함께 쓰는 노래편지>라는 CD로 제작하여 안산 사할린고향마을에 전달했다.




당시 사할린 지역신문에 소개활동 모습
(좌로부터 김목인,이동열,차지은)



 

2005. 5. 3.

[공연] 제6회 전주국제영화제 거리공연

2005년 5월 2일과 3일 양일간 캐비넷 싱얼롱즈는 전주국제영화제 거리 공연팀으로 초청받았다. 밴드에게는 여러모로 의미있었던 공연으로, 우선 큰 페스티벌 무대에서 팬을 얻으며 이후 다른 여러 페스티벌에 초청받는 계기가 되었다.

다른 하나는 본격적으로 버스킹(Busking)에 열중하는 계기가 되었던 5월 3일의 저녁 버스킹이다. 3일에 2회의 공식 공연을 마친 밴드는 전주를 떠나는 게 아쉬웠고, 숙박비를 위한 버스킹을 구상하게 되었다. 이전에도 거리 공연을 했었지만 적극적으로 관람료를 받는 버스킹을 한 것은 이 때부터다. 당일, 밴드와 일행 전체가 이 숙박비로 하루를 더 머물렀고, 유쾌한 여정을 함께 한 김영철, 장혜지는 계속 밴드와 여러 연주 여행을 함께 하게 되는 사이가 된다.

그 뒤 김영철은 캐비넷 싱얼롱즈의 1집 앨범 <리틀 팡파레>의 디자인을 맡았고, 장혜지는 <러시아 사할린 연주 여행>에 동행하기도 했다.